젓대소리

가요연주를 위한 산조대금 음정과 율명 전개의 이해

교매(喬梅) 2013. 2. 1. 17:47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갖고있는 C# 산조대금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 산조대금의 음계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율명과 운지
산조대금 음계표
비고
율명 음가 1공 2공 3공 4공 5공 6공 1 2 3 4 5 6 7 8 9 10 11 12  
C# 레b 시b 라b 파# 미b  
Eb 미b 도# 시b 솔# 파#  
F 레# 도# 라# 솔# 파#
Gb 솔b 미b 레b 시b 라b  
Ab 라b 파# 미b 도# 시b  
Bb 시b 솔# 파# 레# 도#  
B 시b 라b 솔b 미b 레b 확인  
중˚ C 라# 솔# 파# 레# 도#
   b5/
#7
C/
b1
#4/
#5
b2/
b3
#2/
#3
b5/
#5
C/#1 #5
b1/
b2
#3/
#4
b3/
b4
#1/
#2
 

cf. 1) 위 음계표는 온음과 반음의 차를 이용한 순차적 전개입니다.

     2) 위 음계표는 <으뜸음> <도>에 중심율명을 대응시켜 전개한 것입니다.

         가령, 으뜸음 <도>를 찾아 <황>을 중심으로 전개하면 7번 음계표를 갖게 됩니다. 

    3)  음계표의 1번은 음가 그대로 적용된 음계입니다.

    4) 음계표의 2,7,9,12번, 즉, <으뜸음 도>에 <임,황,태,중>을 중심음으로 삼아 전개했을때 무난함을 보여줍니다.

 

1. 대금의 기본 음정 : 대금의 기본적은 음정은 아래와 같습니다.(위 음계표1)

   

  

   1) 위 악보에서 대금의 저취 <임>이 C#(=Db)임을 보여줍니다.

 

   2) <남-무-태-고-중>은 <솔-라-도-레-미>의 음계를 갖습니다.

       즉, <남-무>는 1 온음차, <무-태>는 1 온음과 1 반음의 차, <태-고>는 1 온음의 차, <고-중上>은 1 온음의 차,

       <중上-남>은 1온음과 1반음의 차를 갖고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 5음계를 갖고 있는 많은 동요나 가요 및 민요들은 <남-무-태-고-중> 만으로 운지가 됩니다.

   ※ <남=Eb>, <무=F>, <태=Ab>, <고=Bb>, <중=C> 5개 음은 일치한다고 믿어도 좋으며,

       <임>은 <Db>이나 약간 낮은 듯 하고, <황>은 Gb이나 약간 높은듯 합니다. 자주 연주하다보면 해결됩니다.

   ※ 아래의 설명은 <으뜸음> <도>를 찾아 어떤 율명을 중심으로 전개하느냐에 따른 오선율명보 설명입니다.

       운지가 쉽고 연주가 용이한 <중심율명>을 찾는것이 관건일 것입니다.

 

   ※ 율명 옆에 上, 下가 붙은 율명은 젖히거나 숙여서 반음을 높이거나 낮추는 것을 말합니다.

       다만, 중 만큼은 모든 지공을 다 엽니다.

 

2. <임>을 중심으로 전개 (음계표 2)

 

   1) b 조표

  

 

으뜸음 장조 단조 운지참고 특기사항
C# Bbm   : 전개

 가장 일반적 선택.

 

 

   2) # 조표

   

 

으뜸음 장조 단조 운지참고 특기사항
C# Bbm   : 전개

 b5 조표와 같음.

 

3. <남>을 중심으로 전개 (음계표 4)

 

   1) b 조표

   

 

으뜸음 장조 단조 운지참고 특기사항
Eb Cm

 임은 소리내기 어려움

 황은 밖으로 젖힌듯

 중 : 전개 

※ 남,무,태,고,중 5음을 많이 쓰는 민요 등에 적합함.

※ 이생강 민속악 대금교본에 있는 민요는 이 조표에 따름.

※ b4 조표에 <레자리>가 안나온다고 보면 됨. 

 

 

 

   2) # 조표

  

 

으뜸음 장조 단조 운지참고 특기사항
D Bm

 숙이는 운지 : 남,무,태,고

 중 : 2,3,4,5공 막음

 어려운 연주입니다.

 

 

 

4. <무>를 중심으로 전개 (음계표 6)

  ※ 12율명에 의한 정확한 명칭은 <응>이 맞습니다. 산조대금에서 <무>와 <응>은 구별되지 않으므로 통상의 운지명칭에 따릅니다.

   1) b 조표

  

 

으뜸음 장조 단조 운지참고 특기사항
F Dm

 젖히는 운지 : 임,남,황,태

 중 : 전개 

 어려운 연주입니다. 

 

 

 

   2) # 조표

    

 

으뜸음 장조 단조 운지참고 특기사항
E C#m

 숙이는 운지 : 무,고 

 중 : 2,3,4,5공 막음 

 쉽지 않은 연주입니다. 

 

 

 

4. <황>을 중심으로 전개 (음계표 7)

 

   1) b 조표

  

 

으뜸음 장조 단조 운지참고 특기사항
Gb Bm

 중 : 2,3,4,5공 막음 

 쉬운 연주입니다. 

 

   2) # 조표

  

 

으뜸음 장조 단조 운지참고 특기사항
D Ebm

 중 : 2,3,4,5공 막음 

 쉬운 연주입니다.

 

 

 

 

5. <태>를 중심으로 전개 (음계표 9)

 

   1) b 조표

    

 

으뜸음 장조 단조 운지참고 특기사항
Ab  Fm 

 황 : 젖힌듯 

 중 : 전개

 이 조표에서 <레자리>가 안나오는 5음계 노래(남,무,태,고,중)는 b3조표와 같게 됨.

 활용도가 큽니다.

 

 

 

   2) # 조표

  

 

으뜸음 장조 단조 운지참고 특기사항
G  Em

 숙이는 운지 : 임,남,무,태,고

 중 : 2,3,4,5공 막음 

 어려운 연주입니다.

 

 

    

6. <고>를 중심으로 전개 (음계표 11)

   

   1) b조표

  

 

으뜸음 장조 단조 운지참고 특기사항
Bb Gm 

 젖히는 운지 : 임,황,태 

 중 : 전개

 어려운 연주입니다.

 

 

 

   2) #조표

  

 

으뜸음 장조 단조 운지참고 특기사항
A F#m 

 숙이는 운지 : 남,무,고 

 중 : 2,3,4,5공 막음 

 어려운 연주입니다.

 

 

 

 

7. <중>을 중심으로 전개 (음계표 12)

 

   1) b 조표

  

 

으뜸음 장조 단조 운지참고 특기사항
B Abm

 숙이는 운지 : 무

 중 : 2,3,4,5공 막음 

 #5 조표 같음.

  

   2) #조표

   

 

으뜸음 장조 단조 운지참고 특기사항

 

B Abm 

 숙이는 운지 : 무 

 중 : 2,3,4,5공 막음 

 많이 사용함.

 

 

 

8. 마침

 

   1. 산조대금을 위한 율명작업은 일반적으로 기본음을 찾아 <임><황><태><중>을 중심으로 전개할 수 있음을 압니다.

   2. <솔,라,도,레,미>의 5음계를 갖는 곡에는 <남>을 중심으로 전개할 수 있습니다.

   3. 반주기 악보를 보면서 막바로 연주하려면 <레자리>를 <임>으로 간주하여 운지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b악보는 <레자리>가 <임>이 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악보는 <도자리>가 <임>이 됩니다. 

       b악보든 # 악보든 언제든지 직관적으로 읽을 수 있는 눈 훈련이 필요합니다.  

 

몽마르카부덴@다음카페 <제주섬소리> http://cafe.daum.net/seomsori

'젓대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명(국악찬양팀연주)  (0) 2013.04.23
대금 몸통 줄감는 방법  (0) 2013.04.17
율명악보음(내림라장조)  (0) 2012.12.28
[스크랩] 초보자를 위한 대금교본  (0) 2012.11.21
[스크랩] 알기쉬운 대금교본  (0) 2012.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