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선 악보에 율명 넣기
부르고 싶은 노래의 오선보를 가지고 맘대로 대금연주를 할수있다면 그것도 참 좋을것입니다.
하여 오선보에 율명 넣는 요령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편의상 경어를 생략합니다.
작업은 크게 2단계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오선보에 계이름 넣기, 둘째는 계이름에 맞춰 대금으로 연주할수 있는 율명 넣기입니다.
[Step 1] : 오선보에 계이름 넣기
설명:
① 위의 오선보에 샾(#)을 넣는 위치와 순서는 계이름으로 『파도솔레라미』이고, 플랫(b)은 『시미라레솔도』이다.
② 샾에서는 마지막 #표로부터 반음위가 으뜸음 도이고, 플랫에서는 마지막 플랫기호의 직전 플랫위치가 으뜸음 도이다.
③ 으뜸음 도를 찾았으면 각 음표에 계이름을 쓴다.
[Step 2] : 율명 넣기
설명:
① 위 계이름과 율명을 보고 5개의 율명 '임, 무, 황, 태, 중' 에서 어떤 것을 으뜸음 도로 잡을것인가 선택한다.
② 선택이 됐으면 거기에 따라 율명을 각 음표에 기입한다.
4.실전 연습
목포의 눈물 악보를 가지고 실제 연습을 해보자.
악보를 보면 바장조이므로 바(계이름 파)음이 으뜸음 도이다.
으뜸음을 잡았으면 악보의 음표를 따라서 쭉~ 계이름을 적는다.
계이름 작업이 끝났으면 위 3.계이름과 율명과의 관계를 보고 적당한 음계를 선택한다.
여기서는 노랑색 林음이 으뜸음 도가 되는 스케일을 선택했다. '시'는 율명 유빈에 해당되지만 실제 잘 사용하지 않아서, 대신 중려음을 제쳐서 중(上)으로 만들어낼수 있으므로 仲으로 표시한다.
5.참고 사항
① 율명 넣기에서 5종류의 음계(Scale)중 첫번째(노랑색)음계가 가장 안정적이라고 합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이걸 쓰지만 전체 노래중 가장 높은음과 가장 낮은음을 확인한 다음 좀 편안하게 낼수 있는 음역 범위에 있는 스케일을 선택합니다. 노래의 분위기가 낮은지 높은지, 운지는 편안한지 등 여러가지를 고려 하여 가장 최적의 음계를 선택해서 합니다.
②대금은 작음(作音)악기이므로 작음해야 할 음표가 많이 나오는 스케일은 피해야 합니다. 또한 반음을 사용하는 음표에는 거기에 맞게 율명을 택해야 합니다. 율명넣기가 완성됐어도 대금으로 불어보고 음정의 안정, 편리한 운지법인지를 정검합니다. 보통 3개의 스케일을 택하여 작업한다음 실제 연주해봐서 가장 좋은것 하나를 택하는 것이 제 방식입니다.
출처-다음카페 여민락
'젓대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초보자를 위한 대금교본 (0) | 2012.11.21 |
---|---|
[스크랩] 알기쉬운 대금교본 (0) | 2012.11.21 |
청 채집하는 방법 (0) | 2012.09.07 |
가송공방 (0) | 2012.09.07 |
젓대소리에 애간장이 녹다 (0) | 2012.08.15 |